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해외주식 세금 완전 정리 (2025년 4월 기준)

by smartsidehustle 2025. 4. 15.

해외주식 세금은 어떻게 낼까요?

해외주식 투자, 수익이 나면 기분은 좋지만… 그만큼 세금도 따라온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2025년 4월 현재 기준으로, 한국 거주자가 미국 등 해외 주식에 투자했을 때 발생하는 세금은 크게 양도소득세배당소득세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양도소득세: 주식 팔아서 수익 났을 때

해외주식을 매도하고 얻은 차익에는 양도소득세가 부과됩니다.

  • 기본공제: 연 250만 원까지는 세금이 없습니다.
  • 세율: 250만 원 초과분에 대해 22% (지방소득세 포함)
  • 신고 시기: 매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직접 신고해야 합니다.

예시: 해외주식 투자로 1년에 500만 원 벌었다면, 250만 원은 공제되고 나머지 250만 원에 대해 22% 세금 → 약 55만 원 납부.


2. 배당소득세: 배당금 받았을 때

미국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면 분기마다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때도 배당소득세가 발생합니다.

  • 미국 세금: 원천징수 15% (자동으로 차감됨)
  • 한국 세금: 기본적으로 종합소득세 신고 시 추가 과세 가능성 있음

미국과 한국은 이중과세 방지 협약이 되어 있어, 미국에서 낸 세금은 일부 공제됩니다. 다만, 연간 배당소득이 2천만 원을 넘는다면 종합소득세 신고 의무가 생깁니다.


3. 환차익/환차손도 중요!

해외주식은 달러로 사고팔기 때문에 환율 변동에 따라 환차익 또는 환차손이 발생합니다.

  • 환차익은 비과세입니다!
  • 단, 환차익인지 양도차익인지 구분해서 계산해야 해요.

예시: 같은 주식을 팔았는데 달러가 올라서 더 벌었다면, 그 환차익 부분은 세금 안 냅니다.


4. 해외주식 세금 정리 팁

  • HTS나 MTS에서 해외주식 양도소득 보고서 확인 가능
  •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시 국세청 홈택스 이용
  • 세무사 도움 받는 것도 추천

꿀팁: 연말 정산이나 소득 신고 때 필요한 서류는 미리미리 준비해두면 편해요!


마무리하며

해외주식 투자, 수익만 챙길 게 아니라 세금도 꼼꼼히 챙기자! 미리 알고 준비하면 절세도 가능하니까요 :)

✔ 참고: 위 정보는 2025년 4월 기준이며, 세법은 바뀔 수 있으니 매년 확인하세요.